◈ 세계의 진귀한 풍경들 ◈
▼
화산번개
화산폭발 기둥에서 일어나는
번개 현상
모든 화산에서 일어나는 것은 아니고
용암 분출이
비교적 적은 폭발형 화산에서만 관찰되고
있습니다

▼
지옥의 문
1971년 투르크메니스탄
가스채굴 현장에서 생성된
것으로
직경 70m 의 홀에서 불타오르는
불길은 40년 넘게
꺼지지 않고 있습니다.
인위적으로 끄려고 해도 끌 수 없는 상황

▼
알래스카의 아이스 버블
메탄 가스 버블이 얼어서
알래스카 호수 밑에 갇혀 있는 모습

▼
The Catumbo Lightning
베네수엘라의 Catumbo
강에서는 독특한 대기조건으로
인해
일년의 140~160 일 정도, 하루 밤 사이 10시간.
시간당 280 회의
번개가 격렬히
내려칩니다

▼
홍게 대이동
크리스마스섬에서는 매년
4300만 마리의 홍게들이 산란을 위해 바다로 이동합니다.
당국에서는 홍게가 이동하는 최소 1주일 동안, 홍게가 이동하는 도로는 모두
폐쇄시킴

▼
늑대거미의 역습
영화 미스트의 한 장면
처럼 보이는 이 광경은 거미줄 때문입니다.
땅 밑에 사는 늑대거미들은 호주 동부를
휩쓸었던 홍수로 인해 더
높은 고지대로 이동해야만 했죠.
그리고 평원에 정착한 수백만 마리의 거미들은 그 곳을 온통 거미줄로
뒤덮었습니다.
마을 주민들은 처음엔 놀랐지만 이 거미줄들이 모기같은 해충들을 모두 잡아줘서 좋아했다고

▼
청어때의 대이동
수십억 마리의 청어때들은
매년 5~7월 사이 남아프리카 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이동합니다.
그리고 이기간에는 상어와 돌고래 같은 포식자들이 청어때를 노리고 몰려들기도
합니다

▼
북아일랜드의 자이언트 코츠웨이
고대에 화산 폭발이
만들어낸 작품으로
약 4만개의 현무암들이 서로 물려있는 장관을 연출하고
있습니다.
현재 유네스코 자연문화유산으로 등록.

▼
데스벨리의 움직이는 바위
미국 캘리포니아 데스벨리
사막에는 움직이는 바위가
있습니다.
최대 320kg 의 무거운 바위가
스스로 이동하는
그야말로 미스테리한 자연현상이죠.
지질학계에서도 정확한 원인을 밝혀지지 못하다가,
최근에서의 NASA 의 로렌즈 교수가
실험끝에
그 비밀을 풀었다고
합니다.
데스벨리 사막은 습도에 따라 바닥이 미끄러운 진흙이 될 때도 있는데
그 틈에 바위가 강한 바람의 휩쓸려
이동한다구 하네요.
믿거나 말거나...

▼
브라질 아마존과 영국 서번강의 파도
우리나라에서는 강에서
파도가 치는 것을 볼 수 없지만
브라질 아마존과 영국 서번강에서는 볼 수 있습니다.
바다의 밀물이 강 하구까지 강하게 휘몰아 치고,
그 밀물이 다시 강 상류로 밀려들어가면서 일어나는 파도죠.
사람들은 이 파도를 타고 강에서 써핑을 즐기기도 합니다

▼
모나크나비의 대이동
미국 동부지역과 캐나다에
서식하는 수백만 마리의 모나코 나비들은
매년 수천
키로미터를 날아 맥시코까지 대이동을
합니다.
이 이동은 모나크나비의 세대에 세대를 걸쳐 일어나며 신기한 것은
그럼에도 불구하고 정확히 모두 목적지를 찾아간다는 것이죠.
이것은 지구의 가장 장엄한 자연현상으로
꼽히기도 합니다

▼
나비미아의 미스테리 써클
아직 정확하게 밝혀진건
없지만 과학자들은
흰개미의 소행으로 보고 있습니다

▼
일본 해저 미스테리 써클
일본의 가고시마현
앞바다에서 발견된 이 써클은 알고보니 수컷 복어 한마리의 소행이었습니다.
수컷 복어가 써클을 만들어 놓으면 암컷 복어는 이 써클의 계곡을 타고 중앙으로 들어와
알을 낳는 광경이 포착되었기 때문이죠.
과학자들은 아마도 암컷을 유혹하기 위한 수컷복어의 고안책으로 보고
있습니다.
네티즌들은 이 복어의 예술성을 기려 다빈치 복어라는 별명을 붙여주기도
했죠

▼
거인의 돌구슬
공룡의 알처럼 보이기도
하는 이 거대한 구슬은 뉴질랜드
해안이 있으며 지름은
1~6m 까지 다양합니다.
그 모양은 사람이 만든 것으로 착각하기 쉽지만 엄연히 자연이 만들어낸 작품으로서
약 400만년 동안 퇴적과 침식을 반복하며 만들어젔다고 하네요

▼
그레이트 불루어
벨리즈 해안에 위치한 이
거대한 싱크홀은 지름 약 300m 깊이는 약 125m 입니다.
지구의 눈이라 불리기도 하며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 자연유산에 등록되어 있습니다

▼
블랙썬
영국에서는 매년 겨울
5만마리의 찌르레기들이 무리를 지어 비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.
이 같은 행동은 매나 독수리 같은 포식자들의 공격을 피하기 위한
습성이며
주로 해가 질무렵 이루어져서
검은
태양처럼 보이기도 합니다

▼
올림푸스산의
렌즈구름 또는 유에프오
구름으로 불리기도 하며
대기가 불완정할 때 지형적인 현상으로 인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알려져
있습니다.
올림푸스산 뿐만 아니라 어느 지역에서든 조건이 충족되면 만들어질 수
있습니다

▼
유방운
여성의 쳐진 가슴을 닮았다
해서 유방운이라는
이름이 붙여진 이 구름은
서로
밀집해
파동해서 생겨나며
특히 토네이도 같은 이상기후가 나타나기 전에 포착된다고 알려져
있습니다

▼
자개구름
진주조개 같이 아름다운
빛깔을 띄어 진주구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습니다

▼
거친물결구름
그간 음산한
모습 때문에
악마구름이라 불기기도 했지만
거친물결구름 Undulatus asperatus 이라는 이름으로 정식
등재되었습니다.
냉기류와 온기류의 결이 서로 만났을때 생기는 현상.

▼
탄자니아의 나트론 호수
핏빛호수처럼 보이는 이
호수는
인근 화산의 탄산수소나트륨이 호수에 흘러들어가
붉게 되었다고 합니다.
이 호수가 기괴하다고 알려진 이유는
동물들의 사체가 썪지 않는다고 알려졌기 때문인데요.
그 이유는 탄산수소나트륨이
사체를 돌처럼 딱딱하게 굳혀 썩는
것을 막아주기
때문이라고 합니다.
암튼 이곳은 홍학의 최대 서식처 중에 하나지만
최근 탄자니아 재개발 때문에 위기에 처해있습니다.

▼
캐나다 사막지대의 점박이 호수
뜨거운 여름날 호수의 물이
증발 되면 그속에 녹아있던 미네랄들이
남아
저런 아름다운 빛깔을 만들어낸다고 합니다

▼
몰디브 반딧불이 파도
조수에 의해 해변으로
밀려든 플랑크톤들이 자체발광 하는 모습으로
그 모습이 마치 반딧불이
같다해서서 반딧불이
파도로 불리고 있습니다.

▼
빛 기둥
주로 북극에서 관찰되며
오로라와는 다른 현상입니다.
햇빛이나 달빛이 지구 대기권의 얼음결정체에 반사되어 나타나는 것으로
일종의 광학현상.
사람들은 이 현상을 보고 종종 UFO 가 나타났다고 오해하기도
합니다.

▼
빙화
얼음의 크리스탈 결정체가
꽃처럼 보이는 것으로
영하 22도 근처의 극도의 추위와 고요한 환경이 만들어내는 겨울의
꽃입니다

▼
눈 굴뚝
지구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한 남극의 활화산으로
주변에 눈이 쌓여 꼭 굴뚝같이
보입니다.

▼
천정호 (天頂弧)
정식 학명은
circumhorizontal arc 이지만 사람들은 종종 fire rainbows 라고 부릅니다.
일반적인 아치형 무지개와는 달리 이 무지개는
대기중에 흩어져있는 형태를 띕니다.
구름 속 얼음 결정에 태양빛이 반사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
일반 무지개와는 그 원리가 다르지만.. 그냥 무지개로
부릅니다.

▼
레인보우 유칼립투스
레인보우 유칼립투스라고
알려진 이 나무는
동물들이 털갈이를 하듯이 자신의 껍질을 매년 가는데,
갓 벗겨진 초록색 속살은 시간이 지나면 보라색 오랜지색 밤색 순으로 바뀌며
저런 아름다운 무지개 문양을 만들어 내게 됩니다.
▼
Moskstraumen
노르웨이 바다에서 일어나며
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소용돌이.
이 소용돌이는 세계적인 작가 애드거 앨런 포우의
"큰
소용돌이에 빨려들어서" 라는 작품에 영감을 주기도 했습니다.
|